Day by Day 영어와 경제

[경제] FRED 통계 FRB 연방준비은행 장단기 금리 역전 본문

경제

[경제] FRED 통계 FRB 연방준비은행 장단기 금리 역전

꽝글러TV 2019. 7. 30. 01:14

경제를 이야기 할때

자주 언급 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FRED 입니다.

오늘은 이곳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RB란?

 

FRB

FRB를 우선 알아야

FRED를 알 수 있겠죠?

 

FEDERAL RESERVE BANK

연방준비은행

https://www.federalreserve.gov/

 

Federal Reserve Board - Home

Please enable JavaScript if it is disabled in your browser or acces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links provided below. Last Update: July 26, 2019 Back to Top

www.federalreserve.gov

FRB는 통화량 통제의 신적 권력을 가진

미국의 사조직입니다.

그럼에도 미국 헌법에서 그 권력을

인정하고 있는 곳이지요.

 

연방준비제도(聯邦準備制度, 영어: Federal Reserve System 페더럴 리저브 시스템[*]), 약칭 연준(聯準, Fed 페드[*])은 미국중앙은행 제도이다. 1913년 12월 23일 미 의회를 통과한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에 의해 설립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구조는 점차 커지게 되었는데, 1930년대에 발생했던 대공황 같은 요소가 주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이 승인한 이사 7명으로 이루어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의해 운영되며, 정부로부터는 철저한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달러화의 발행이며, 그 외에 지급 준비율 변경, 주식 거래에 대한 신용 규제, 가맹 은행의 정기 예금 금리 규제, 연방 준비 은행의 재할인율을 결정한다. 달러화가 세계 기축통화로 쓰이는 만큼, 이러한 결정은 미국 및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중앙이사회는 워싱턴 D. C.에 위치하고 현재 의장은 제롬 파월이다. 미국 각지에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 12개 지점(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클리블랜드, 리치먼드, 애틀랜타, 세인트루이스, 미니애폴리스, 캔자스시티, 댈러스)이 있다. 연방 준비 은행을 국립 은행이라고 오해하지만 사실은 사립은행이며 JP모건 등 사립 은행들이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약간의 지분도 소유 하고 있지 않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B%B0%A9%EC%A4%80%EB%B9%84%EC%A0%9C%EB%8F%84

출처 : 위키피디아

 

 

 FRED 위치

 

https://fred.stlouisfed.org/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 will reply as soon as possible. If you have not received a response within two business days, please send your inquiry again or call (314) 444-3733.

fred.stlouisfed.org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RB에서 제공하는 경제 자료

 

오늘자 첫 페이지 모습입니다.

PC 웹사이트

FRED

 

 장단기 금리 역전

 

장단기 금리 역전에 의한

국내 금융 정책도 다음 달 말

준비되어 있을 정도로

관심과 영향력이 큰데요.

 

(제2안심전환대출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해 볼 예정입니다.)

 

FRED에서 이 장단기 금리 역전을

직접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로 보겠습니다.

 

FRED에 들어가면 보이시는 첫페이지구요

아래 메뉴 중

"POPULAR SERIES" 를 클릭합니다.

 

여러가지 차트 자료가 나오는데요

그 중 첫번째와

두번째 차트를 비교할 예정입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첫번째가 장기 금리고

두번째가 단기 금리입니다.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직역하면

10년 만기 재무 상환 만기일 빼기 2년 만기 재무 상환 만기일

의역하면

미국 장기 채권 수익율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3-month Treasury Constant Maturity 

직역하면

10년 만기 재무 상환 만기일 빼기 3개월 만기 재무 상환 만기일

의역하면

미국 단기 채권 수익율

 

첫 번째 시리즈인

장기 채권 금리를 우선 살펴봅니다.

1년 주기 그래프가 기본으로 나오는데

5년, 10년, max로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다른 차트와 비교분석이 가능한데요,

현재 나타나 있는

장기 금리에 단기 금리를

올려보겠습니다.

오른쪽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오른쪽 팝업에서

두번째 탭인 add line을 선택합니다.

 

아까 "POPULAR SERIES" 중 두번째인

단기 금리를 수기로 입력해야 합니다.

"3 month"를 입력하면

아래처럼

관련 콘텐츠가 뜹니다.

해당 내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 후 아래에 나타나는

"add data series"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어디선가 많이 봐왔던

그림이 나타납니다.

기간이 아까와는 달리

max로 나타난 것 같습니다.

표시한 곳처럼

파란색 그래프가 장기 금리

빨간색 그래프가 단기 금리입니다.

 

그래프 중 어느 시점을 선택하면

해당월의 금리가 상세히 나타납니다.

 

1년을 선택하고

최근 금리를 확인해보면

이미 4월부터 

장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o What?

 

그래서 뭐 어쩌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미국 금리의 영향은

전세계로 퍼집니다.

바로 기축통화이기 때문이죠.

 

world currency, supranational currency, global currency, keycurrency

 

왜 우리가 이부분은

확인해야하냐면

다른 나라들은 나와 상관없겠지만

우리 나라의 문제는

나와 상관이 있으니까요.

 

위 장단기 금리가

함께 나타난 그래프를 전체적으로 보시면

동반 급락을 하는 시점이

세계 경제 위기의 시점과

거의 맞아 떨어집니다.

무엇인가를 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요?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B6%95_%ED%86%B5%ED%99%94

 

기축 통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축 통화(基軸通貨, 영어: world currency, supranational currency, global currency, key currency)는 금과 더불어 국제간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통용되는 통화를 가리킨다. '기축 통화'라는 표현은 예일대학교 교수였던 벨기에의 경제학자 로베르 트리핀이 1960년대 처음으로 사용했다. 스페인 달러(17세기 ~ 19세기)[편집]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은화가 아메리카 대

ko.wikipedia.org

 

조금이나마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은 사랑입니다!!!

 

 

Comments